리더가 되는 자격은 무엇일까요? 잘 이끌 수 있는 사람? 인기가 많은 사람? 제가 생각하는 리더의 자격은 길을 알고 있는 사람이 아니라, 길을 안내할 수 있는 사람입니다.
팀장이 되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근속년수? 경력? 라인? 여러가지 조건들이 있을겁니다. 팀장직을 별도로 채용하지 않는 이상, 팀원 중 팀장의 자격이 있는 사람이 팀장이 되거나, 타 부서에서 인사이동 되어 팀장 직책을 맡게됩니다. 팀장은 조건을 충족하기에 앞서 리더의 자격이 있는 사람이 되어야해요.
팀원을 대표하는 사람이다.
팀장은 팀의 틀을 잡아 줄 수 있어야합니다. 팀원이 타 팀과 협업을 하거나, 외부 업체와 업무를 수행할 때, 표면적인 배경이 되어주며 업무 대표자 역할을 해주어야 하구요. 또한 적절한 업무 분배와 그에 대한 보상, 팀의 성과가 될 수 있도록 팀을 대표하여 책임지고 관리하는 것이 팀장의 역할입니다.
팀원을 신뢰하라.
팀장에게 실무적인 업무를 기대하지는 않습니다. 스케치를 하는 자리이지, 색칠하는 자리는 아니라고 생각하거든요. 하지만, 팀원이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업무 환경을 제공하기위해 노력해야합니다. 교육을 지원하고 역량 상승을 위한 독려도 필요하겠죠. 회사에서 직원들이 매일 하고 있는 '일' 이라는 것은 겉에서 보는 것과 속에서 보는 것이 다릅니다. 겉보기에는 쉬워보일 수도 있지만, 팀원들은 속에서 많은 손길과 시간을 투자하고 있거든요. 팀원이 하는 일을 신뢰하고, 신뢰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도 팀장의 역할입니다.
공감할 줄 알아야한다.
팀장이 회사 업무를 모르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팀원들이 업무를 수행하며 받게될 고충에 대해 모른다는 것은 팀장의 자질이 부족하다고 생각해요. 적절한 시기에 면담을 통해 현재 팀원의 생각과 팀 방향성에 대해 소통하며 많은 이야기를 나누고 공감 하는 것이 좋습니다. 팀장이 팀원의 업무 고충을 공감하지 못하면, 팀원은 회사에서 공감대를 찾기 어렵습니다. 잦은 회식을 통해, 팀 내 친밀도에 중점을 두기보다 평상시에 일상적인 소통을 하는 것이 공감대 형성에 도움이 될 것이라 봅니다. 소통은 지적을 하기보다 제시하는 자세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글을 마치며
회사생활을 하면서 팀장보다 나이가 더 많은 팀원도 보았고, 직급이 더 높은 팀원도 보았습니다. 절대로 그분들이 역량이 부족해서, 자격이 없어서가 아니에요. 누구보다 더 나아서 리더를 하는 것이 아니라, 책임감과 함께 상대를 품고 목적지까지 나아갈 수 있는 사람이 리더가 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30대 직장인 > 슬기로운 직장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 퇴사로 인한 인수인계 문서 만들기 꿀팁! (0) | 2023.09.07 |
---|---|
[#14] 직장인 자존감 높이는 방법 (2) | 2023.08.26 |
[#13] 간과하다 당하는 직장인 대화의 중요성과 팁! (0) | 2023.08.19 |
[#12] 그럴듯한 퇴사사유, 이직사유는? (0) | 2023.08.15 |
[#11] 직장에 퇴사 통보는 언제 어떻게..? 가장 좋은 퇴사 시기는? (0) | 2023.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