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직장인/슬기로운 직장생활

[#15] 퇴사로 인한 인수인계 문서 만들기 꿀팁!

킴책임 2023. 9. 7. 22:16

 
인수인계 문서는 퇴사 시 담당한 업무와 프로젝트에 대한 진행내역을 작성하는 문서입니다. 대부분의 회사에서는 직원이 퇴사할 경우, 인수인계 문서 작성을 요청합니다. 퇴사 프로세스의 일환으로 인수인계 완료 후, 인수인계자 서로 간의 서명이나, 상급자의 승인을 득해야 퇴사 처리가 완료되는 경우도 많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시작도 중요하지만 끝도 중요합니다. 인수인계 문서를 어떻게 만드는 지에 따라 퇴사자의 그동안의 근태가 재평가되기도 합니다. 좋지 않은 감정으로 퇴사를 하게 되었을지라도 기본을 갖춘 인수인계 문서를 생성하는 것이 스스로에게도 더 좋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인수인계 문서를 만드는 방법은 어렵지 않아요. 담당하는 업무, 진행하고있던 프로젝트가 있다면 프로젝트 진행현황에 대해 인수자가 자연스럽게 업무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만들어주면 끝입니다. 중요한 점은 인수자가 자연스럽게 업무를 이어나가고, 관련 정보나 자료를 필요할 때마다 찾아볼 수 있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간혹 인수인계를 교육으로 착각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하지만 인수인계는 교육이 아니에요. 담당할 업무를 인계하는 것이고 회사만의 사용 방법, 가이드가 있다면 안내할 뿐입니다.
 

 
 

인수인계 내용 정리


담당한 업무, 진행중인 프로젝트에 대해 정리한 인수인계 문서를 생성합니다. 문서는 회사만의 양식 있다면 회사 양식을 준수하고, 별도의 양식이 없다면 엑셀 문서의 사용을 추천드려요. 엑셀 파일을 생성한 후, 엑셀 시트 하나에 인수인계 항목이 한 눈에 들어오도록 정리해 주세요.



인수인계 내용 분류


인수인계 내용은 담당한 업무를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세분화하여 카테고리로 분류하면 처음 접하는 인수자가 담당 업무를 파악하기 수월하고, 가독성이 높아지거든요.

A 업무A-1 업무A-1-1 업무
 A-1-2 업무
 A-1-3 업무
 A-1-4 업무

크게 A 업무라고 칭하고, 그에 파생되는 A-1 업무, A-1 업무를 진행하기 위한 정보, 자료 등은 A-1-1 업무 등의 카테고리 분류 방식으로 작성해 주세요.



인수인계 폴더 생성


인수인계 내용 정리와 분류가 완료되었다면, 분류된 카테고리 항목에 맞게 폴더를 생성합니다. 최상위 폴더로 'ㅇㅇㅇ_인수인계'를 생성한 후, 그 안에 하위 폴더로 계속 생성해 주세요.

ㅇㅇㅇ_인수인계 폴더
              |
             A 업무 폴더
             ㅣ           ㅣ
             ㅣ            A-1 업무 폴더
             ㅣ                             ㅣ
             ㅣ                             A-1-1 업무 폴더
              B 업무 폴더
                            ㅣ
                             B-1 업무 폴더
                                              ㅣ
                                              B-1-1 업무 폴더




인수인계 자료 취합


분류된 카테고리에 맞게 인수인계 폴더 생성이 완료되었다면, 각 폴더에 해당되는 인수인계 자료를 넣어주세요. 자료는 업무에 대한 관리 문서 혹은 산출물 위주로 넣어주시고 사소한 내용이라도 전부 넣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퇴사 후 연락을 받고 싶지 않으시다면요.
 
인수자에게 가장 큰 도움이 되는 것은 인계자가 회사에서 사용한 메일 이력입니다. 회사 메일 이력은 인계자가 근무한 흔적으로 인수자에게 기준이 되어줄 수 있거든요.
 
 
직장인 파이팅.